맨위로가기

아쿠아 클라우디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쿠아 클라우디아는 고대 로마의 수도교로, 아니오 강 상류의 카이룰레우스와 쿠르티우스 연못을 수원지로 하여 로마 시에 물을 공급했다. 총 연장 약 69km로, 대부분 지하를 통해 흐르며, 하루 최대 190,000m³의 물을 공급할 수 있었다. 네로 황제 시기에는 카일리아누스 언덕, 도미티아누스 언덕, 팔라티누스 언덕까지 연장되어 로마 14개 구역 전체에 물을 공급하는 데 기여했다. 베스파시아누스 황제와 티투스 황제 시기에 보수 공사가 이루어졌으며, 폰테 바루첼리 등 여러 교량 유적이 남아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로마의 고대 용수로 - 아쿠아 알시에티나
  • 로마의 고대 용수로 - 아니오 노부스
    클라우디우스 황제 시대에 건설된 아니오 노부스는 아쿠아 클라우디아와 함께 로마 시민들에게 물을 공급하기 위한 수도교로, 아니에네 강 상류를 수원지로 하여 로마로 유입되는 수도교 중 수위가 가장 높았으나 수질은 좋지 않았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 1세기 완공된 건축물 - 콜로세움
    콜로세움은 플라비우스 원형 경기장이라고도 불리는 고대 로마의 원형 경기장으로, 검투사 경기와 야수 사냥을 위해 플라비우스 왕조 시대에 건설되었으며, 네로 황제의 동상인 콜로서스 근처에 위치하여 현재는 로마의 대표적인 관광 명소가 되었다.
  • 1세기 완공된 건축물 - 오랑주 고대극장
    오랑주 고대극장은 1세기 아우구스투스 황제 시대에 건설되어 프랑스에 위치하며, 19세기 복원 작업을 거쳐 현재 관광 명소이자 공연장으로 사용되며, 1981년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되었다.
  • 고대 로마 - 콘스탄티노스 11세 팔레올로고스
    콘스탄티노스 11세 팔레올로고스는 1405년에 태어나 1449년 황제가 되었으며, 오스만 제국의 위협 속에서 동서 교회의 통합을 시도했으나 실패하고 1453년 콘스탄티노폴리스 함락과 함께 최후를 맞이하며 동로마 제국의 종말을 가져왔다.
  • 고대 로마 - 삼두정치
    삼두정치는 세 사람이 공동으로 권력을 행사하는 정치 체제를 의미하며, 고대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역사적, 정치적 상황에서 나타났다.
아쿠아 클라우디아
지도 정보
기본 정보
건물이름클라우디아 수도
로마자 표기Aqua Claudia
이탈리아어 표기Acquedotto Claudio
다른 이름클라우디우스 수도
위치로마
착공일AD38
완공일AD52
구조석조 및 로만 콘크리트 구조
전체 길이68.98km (46.406 로마 마일)
수량184,280m³/일 (4,607 퀴나리아)
건설 정보
시공사로마 제국
참고 자료
참고 자료『米欧回覧実記』와 고대 로마 문명 - 수도에 관한 기술에 대한 주석과 고찰 -
참고 자료Frontinus의 De aquaeductu 1.13
참고 자료Papers of the British School at Rome의 Deane R. Blackman, The Volume of Water Delivered by the Four Great Aqueducts of Rome

2. 상세

아쿠아 클라우디아는 아니오 강 상류 지역의 카이룰레우스(Caeruleus)와 쿠르티우스(Curtius) 샘을 주요 수원지로 삼았다. 이 샘들은 비아 수블라켄시스의 38번째 로마 마일에서 왼쪽으로 300보 거리에 위치했다고 전해진다.[17] 수질은 마르키아 수도 다음으로 양호했다.[11]

프론티누스에 따르면, 총 길이는 68.98km(46.406 로마 마일)이며, 이 중 53.62km(36.230 로마 마일)는 지하 수로, 15.06km(10.176 로마 마일)는 지상 수로였다. 지상 구간 중 0.9km(0.609 로마 마일)는 구조물 내부를 통과했고, 9.6km(6.491 로마 마일)는 수도교 위를 흘렀다.[7] 수관은 화산재[13]를 혼합한 튼튼한 로마 콘크리트로 만들어져 오랫동안 사용될 수 있었다. 평균 경사는 300분의 1(300m 진행 시 1m 내려감)이었다.[7] 수량은 하루 184,280m³(4,607퀴나리아)에 달했다.[10][18]

라티나 가도에서 7 로마 마일 떨어진 지점[7]의 정수장(여과지)을 통과한 후에는 아치교 구조물 위로 흘렀다. 로마 시 근처에서는 신아니오 수도의 수관을 상단에 얹은 형태의 수도교를 통해 운반되었으며,[12][6] 로마 수도교 공원 부근에서는 그 높이가 약 30m(혹은 28m[12])에 달했다. 로마 시로 진입할 때는 포르타 마조레를 통과하였는데, 이는 아니오 노부스와 함께 로마 시내로 들어오는 유일한 수도교였다. 이후 황궁이 있는 팔라티누스 언덕까지 이어졌다.

200px


네로 황제는 아쿠아 클라우디아를 카일리아누스 언덕, 도미티아누스 언덕, 그리고 팔라티누스 언덕까지 연장하는 'Arcus Neroniani|아르쿠스 네로니아니la' 공사를 진행했다.[19] 이 연장 구간은 체리오 언덕에서 팔라티누스 언덕으로 연결되는 부분에서 높이가 37m 이상이었던 것으로 추정된다.[6] 이 공사 이후 아쿠아 클라우디아는 로마 시의 14개 행정구 전역에 물을 공급할 수 있게 되었다.[20][11]

아쿠아 클라우디아는 완공 후 10년간 사용되다가 기능을 멈추고 9년간 방치된 기록이 있다. 이후 최소 두 차례 보수 공사를 거쳤는데, 서기 71년 베스파시아누스 황제가 처음 보수했고, 81년에는 티투스 황제가 다시 보수했다. 한편, 수도교 내부에 산 토마소 인 포르미스 교회가 세워지기도 했다.

3. 경로

아쿠아 클라우디아는 아니오 강 상류 지역에 있던 Caeruleus|카이룰레우스lat와 Curtius|쿠르티우스lat라는 두 개의 연못을 주요 수원지로 삼았다.[17] 이 연못들은 비아 수블라켄시스의 38번째 이정표 근처에 위치했다고 전해진다.[17] 수도의 총 길이는 약 69km(46.406 로마 마일)에 달했으며,[7] 프론티누스에 따르면 이 중 53.62km는 지하 수로로, 나머지 15.06km는 지상 구조물을 통해 물이 흘렀다. 지상 구간 중 9.6km는 수도교(연속된 아치 구조) 형태였다.[7] 하루 수송량은 약 185000m3 (프론티누스는 4,607퀴나리아로 기록)[10][18]에 달했다. 수질은 마르키아 수도 다음으로 양호하다는 평가를 받았다.[11]

라티나 가도의 7번째 로마 마일 지점에 위치한 정수장(여과지)[7]를 통과한 후, 수로는 신아니오 수도의 수관을 상단에 얹은 거대한 수도교를 통해 로마 시로 향했다.[12][6] 이 수도교는 로마 시에 가까워질수록 점차 높아져, 로마 수도교 공원 인근에서는 그 높이가 약 30m에 이르렀다.[12] 로마 시내로 진입할 때는 포르타 마조레를 통과했는데, 이는 아니오 노부스와 함께 이 문을 통과하는 유일한 고대 로마의 수도교였다.

로마의 포르타 마조레. 아쿠아 클라우디아와 아쿠아 아니오 노부스 수로의 잔해가 남아 있으며, 271년 아우렐리아누스 성벽의 일부로 통합되었다.


네로 황제는 이 수도를 에스퀼리노 언덕에서 시작하여 카일리아누스 언덕과 팔라티누스 언덕 (황궁이 위치했던 곳)까지 연장하는 Arcus Neroniani|아르쿠스 네로니아니lat 공사를 진행했다.[19] 이후 도미티아누스 황제가 팔라티누스 언덕까지 추가로 연장하였다. 이 연장 공사 덕분에 아쿠아 클라우디아는 로마의 14개 구역 전역에 물을 공급할 수 있게 되었다.[20]

아쿠아 클라우디아는 건설에 화산재를 혼합한 견고한 로마 콘크리트를 사용했으며,[13] 평균 기울기는 1/300 (300m 진행 시 1m 하강)으로 설계되었다.[7] 완공 후 10년간 사용되다가 기술적인 문제로 9년간 운영이 중단되기도 했으나, 서기 71년 베스파시아누스 황제와 81년 티투스 황제가 보수 공사를 시행하여 다시 사용되었다. 이 수도교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프론티누스가 저술한 ''데 아쿠아에두크투''에 기록되어 있다.

클라우디아 수도의 수원에서 로마까지의 경로(적색 선)


클라우디아 수도의 로마 시내 경로(적색 선)

3. 1. 교량

현재까지 남아있는 아쿠아 클라우디아의 교량은 다음과 같다.

  • 폰테 술 포소 델라 노체(Ponte sul Fosso della Noce|폰테 술 포소 델라 노체it)
  • 폰테 산 안토니오(Ponte San Antonio|폰테 산 안토니오it)
  • 폰테 델레 포르메 로테(Ponte delle Forme Rotte|폰테 델레 포르메 로테it)
  • 폰테 델린페르노(Ponte dell'Inferno|폰테 델린페르노it)
  • 폰테 바루첼리(Ponte Barucelli|폰테 바루첼리it)

3. 1. 1. 폰테 델린페르노

이 다리는 석재를 정사각형으로 다듬어 쌓는 기법인 '''오푸스 콰드라툼'''으로 만들어진 단일 아치 구조물이며, 후대에 벽돌로 보강되었다. 수로(스페쿠스, ''specus'')는 약 1m 너비이며, 역시 오푸스 콰드라툼으로 건설되었지만, 다리가 놓인 응회암 바로 위에 있는 다공성 석재를 사용했다.

3. 1. 2. 폰테 바루첼리

폰테 바루첼리


Ponte Barucelli|폰테 바루첼리lat(Ponte Diruto|폰테 디루토lat라고도 알려짐)는 아쿠아 클라우디아(북쪽)와 아니오 노부스(남쪽) 수로가 아쿠아 네라(Acqua Neralat) 개울을 건너도록 8m 간격으로 건설된 두 개의 거대한 다리로 이루어져 있다. 두 다리 모두 서기 38년에서 52년 사이에 건설되었다. 이후 부벽과 보강재를 사용하여 보강되었으며, 두 개의 거대한 연속적인 구조물로 연결되었다.

아니오 노부스 다리는 길이 약 85m, 너비 약 10m이며, 아쿠아 네라를 위한 높고 좁은 주요 아치를 제외하고는 몇 개의 작은 아치가 있다. 원래는 석회암을 이용한 오푸스 콰드라툼( opus quadratumlat ) 방식으로 건설되었다. 1세기 후반에는 오푸스 믹스툼( opus mixtumlat )으로 보강되었는데, 동쪽 끝 부벽 두 곳에서 확인할 수 있다. 3세기 초에는 북쪽에 9개의 직사각형 부벽이 일정한 간격으로 추가되었고, 남쪽에는 개울 바닥 근처에 3개만 추가되었으며, 나중에 서쪽 제방에 품질이 낮은 오푸스 라테리치움( opus latericiumlat )으로 5개, 동쪽에 오푸스 믹스툼으로 2개가 추가되었다.

후에 두 다리는 세 개의 벽돌 아치와 부벽으로 연결되었다.

4. 보수

아쿠아 클라우디아는 완공 후 최소 두 차례 이상의 보수 공사를 거쳤다. 역사가 타키투스는 이 수도교가 서기 47년에 사용되었음을 기록하였다.[3] 그러나 베스파시아누스 황제의 비문에 따르면, 수도교는 완공 후 10년간 사용되다가 고장으로 인해 9년 동안 기능을 멈추었다고 한다.[4]

첫 번째 공식적인 보수는 서기 71년 베스파시아누스 황제에 의해 이루어졌으며, 서기 81년에는 그의 아들 티투스 황제가 다시 한번 보수 작업을 진행했다. 또한 서기 123년에 제작된 벽돌 각인을 통해 하드리아누스 황제 통치 시기에도 복원 작업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알렉산데르 세베루스 황제는 네로가 건설했던 아치 구간, 즉 '아르쿠스 카엘리몬타니' (arcus Caelimontani)라 불리던 부분을 보강했다. 이 구간은 카일리아누스 언덕과 팔라티누스 언덕 사이의 계곡을 가로지르는 아치 구조물들을 포함한다.

시간이 흘러 수도교 구조물 일부를 활용하여 산 토마소 인 포르미스 교회가 세워지기도 했다.

5. 비문

TRIBUNICIA POTESTATE XII, COS. V, IMPERATOR XXVII, PATER PATRIAE,
AQUAS CLAUDIAM EX FONTIBUS, QUI VOCABANTUR CAERULEUS ET CURTIUS A MILLIARIO XXXXV,
ITEM ANIENEM NOVAM A MILLIARIO LXII SUA IMPENSA IN URBEM PERDUCENDAS CURAVIT.}}

'''번역'''


  • 클라우디우스 (티베리우스·클라우디우스·드루수스·카이사르·아우구스투스·게르마니쿠스) 황제 최고대제사
  • 호민관 권한 12회 집정관 5회 황제 칭호 27회 조국(國家)의 아버지
  • 약 72.42km 지점의 카에룰레우스와 쿠르티우스라 불리는 샘에서 클라우디아 수도를
  • 또한 약 99.78km 지점에서 신 아니오 수도(아니오 노부스)를 건설하여 로마에 헌정했다.

6. 갤러리

아쿠아 클라우디아 유적


체리우스 언덕과 팔라티누스 언덕 근처의 아르쿠스 네리오니아니(Arcus Nerioniani)

참조

[1] 서적 De aquaeductu
[2] 논문 The Volume of Water Delivered by the Four Great Aqueducts of Rome
[3] 논문 Tac. Ann. 11, 23 1874-01-01
[4] 논문 Doubles lyonnais d'inscriptions romaines de Narbonne (CIL, XIII, 1994 = CIL, XII, 4486 ; CIL, XIII, 1982 a = CIL, XII, 4497) 1981-01-01
[5] 서적 De aquaeductu
[6] 논문 『米欧回覧実記』と古代ローマ文明 ― 水道に関する記述への注釈と考察 ― https://gpwu.repo.ni[...] 群馬県立女子大学 2012-02-01
[7] 웹사이트 8.14 The Claudia and Anio Novus , Frontinus, Aqueducts 13–15 http://archive1.vill[...]
[8] 웹사이트 Frontinus, Aqueducts, I-13 https://penelope.uch[...]
[9] 웹사이트 Roma Vecchia - Porta Maggiore : Peperino stone http://www.romanaque[...]
[10] 웹사이트 Frontinus, Aqueducts I-72 https://penelope.uch[...]
[11] 웹사이트 Roman aqueducts : Aqua Anio Novus http://www.romanaque[...]
[12] 웹사이트 THE SEVEN AQUEDUCTS AND TOR FISCALE http://www.parcoappi[...]
[13] 문서 ash from volcanoes near Rome
[14] 서적 De aquaeductu
[15] 웹사이트 https://books.google[...]
[16] 논문 The Volume of Water Delivered by the Four Great Aqueducts of Rome http://www.jstor.org[...]
[17] 웹사이트 http://www.romanaque[...]
[18] 웹사이트 Aqua Claudia 2013-03-15
[19] 웹사이트 https://www.maquette[...]
[20] 웹사이트 http://penelope.uchi[...]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